서울경제] 국회가 28일 심사를 시작한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을 두고 소상공인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특히 무장애(배리어프리)키오스크기술개발 지원에 92억 원의 예산을 편성한 것을 두고 생색내기 추경의 대표적 사례라는 비판이 나온다.
◆ 과잉 입법의 역설 ◆ 서울에서 포차를 운영하는 50대 김 모씨는 최근 매장에서 사용하고 있는키오스크를 '배리어프리(장애인용) 제품'으로 교체하기 위해 알아보다 혼란에 빠졌다.
김씨는 "어떤 제품을 구매해야 할지 몰라 알아봤더니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단체에.
[앵커]키오스크가게가 훌쩍 늘었지만 고령자나 장애인은 이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죠.
그래서 정부가 올해부터 큰 글씨에 음성 안내 기능까지 갖춘 '장벽 없는키오스크'를 의무화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 최대 3천만원을 매기기로 했습니다.
[구미=뉴시스] 삼성전자 나눔키오스크.
(사진=구미시 제공) 2025.
현재 해당 검증을 받은 기업은 국내에 LG전자(한국전자금융)와 비버웍스 등 4제품 뿐이다.
그러나 여전히 고령층과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게 높은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병원 내 실손24키오스크설치 필요성이 제기됐다.
29일 '국회 K헬스케어·웰다잉 포럼'에서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실손보험 청구 접근성 강화 방안'을.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장애인 등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배리어프리키오스크’ 설치를 의무화했지만,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혼란과 불만이 커지고 있다.
세부 기준이 모호하고, 비용 부담 역시 상당하다는 이유에서다.
정액등록세와 면허세를 신고할 수 있는키오스크모습.
/사진제공=파주시 파주시가 전국 최초로 정액등록세 및 면허세를키오스크에서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28일부터 운영한다.
이번 신고시스템은 단순등록세(정액등록세)와 면허세를 신고할 경우 차세대.
25일 김보라 안성시장,안정렬 시의회의장 등 복지 관련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시청 1층 현관에 기부키오스크를 설치했다.
실손보험 청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태와 대안이 논의됐습니다.
포럼에 참석한 이동준 한수기업정책연구소 정책본부장은키오스크와 자원봉사자 등을 배치해 취약층을 돕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이 본부장은 "요양기관 현장에 전용키오스크를 설치하고, 현장.